한정헌 멘토님
실무에서 전달하는 따끈한 MSA이야기 - 인프런 | 강의
프로젝트 계획서 (녹템조)
- 프로젝트 주제 및 목적
- 주제는 조별 이름 정하듯이 정한다.
- 문제 → 해결 및 보완 (차별화)
- 글은 명시적으로 작성
- 개선점
- 소프트웨어의 가치: 불편함, 수동적 → 자동화
- 별거 없더라도 포장하는 방법 필요함
- 유스케이스
- 비즈니스 시나리오, 사용 사례 (ex 온라인 주문 흐름 등)
- 기존 서비스와 다른 점 쉽게 이해
- 소프트웨어 공학 유스케이스 : 시스템의 범위를 정의하는 것
- 산출물
- How
- 조직에 대한 이야기
- 역할 분담(FE, BE, 배포, 인프라, PM, 스크럼 마스터 등)
- 일정 (애자일: 스크럼, XP 등) : 기술적인 이정표, 계획
- 계획서는 이해 관계자(고객사 등)들에게 보여주는 것 → 일정이 중요하다.
- 요구사항, 아키텍쳐, 기술 스택
- 애자일
- UI 설계
- 아키텍쳐
- 구현 계획
- 프론트엔드 개발 환경
- 백엔드 개발 환경
- 형상 관리 (git, github)
- 로컬 서버, 개발 서버, 테스트 서버
프로젝트 계획서 (나눔조)
- 기술 선택 : (Why?)
- 도메인 주도 설계
- 발표할 때 보여줘야 할 것
- 팀의 컨셉 : 성장 과정
- 체계적인 과정 : 협업, 협동
- 듣는 사람에게 어떠한 가치를 전달할 것
- 개발환경