Q 오늘은 어떤 것을 했나요?

민수: user쪽 service를 조금 실습해보고 security 초반 부분까지 적용해봤습니다.

찬영: 오전에는 공식 문서 보면서 공부하고 메인 화면 UI 구현 작업을 했습니다.

대현: 레이어드 아키텍처와 핵사고날 아키텍처의 개념을 한번 알아 보았습니다. 저희 서비스는 크게 복잡하지 않아서 레이어드 아키텍처로 구현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.

찬흠: 마이크로서비스 통신 방법으로 Restemlate와 FeignClient를 배웠습니다.

RestTemplate: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http 통신에 유용하게 쓸 수 있는 템플릿이며, HTTP 서버와의 통신을 단순화하고 RESTful 원칙을 지킨다. jdbcTemplate 처럼 RestTemplate 도 기계적이고 반복적인 코드들을 깔끔하게 정리해준다.

Feign Client:  web service 클라이언트를 보다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 interface를 작성하고 annotation을 붙여주면 세부적인 내용 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 코드 복잡도가 낮아집니다. Netflix 에서 만들어졌고, spring-cloud-starter-openfeign  으로 스프링 라이브러리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호정:

Q 업무에 문제가 있었나요?

대현: 실습하다가 코드 오타 때문에 1시간을 날렸습니다,, 다행히 문제를 찾아서 이어서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.

찬흠:

찬영: 메인 화면에서 이미지를 반응형으로 보여줘야 되는데 어떻게 조정해야 하는지 고민 중입니다.

민수: 아직은 큰 문제가 없습니다.

호정: